[이슈 Breif 1호] 여성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페이지 정보

본문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2차 조사를 사용하여 A-mos 20.0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은 장애수용과 취업여부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장애수용 또한 취업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함의를 제시하였다.
□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있을 때, 취업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 여성 장애인의 차별금지 및 인권향상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함.
- 여성 장애인 가구를 대상으로 장애인학대예방 교육과 가족 상담 등을 시행할 필요가 있음.
- 어린이집, 학교, 관공서 등에서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식 개선 교육 및 프로그램이 더 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임.
□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장애수용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됨
- 차별경험의 정도가 높은 미취업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고 심 리․정서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해야 될 것임.
- 긍정적인 자기 가치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함.
- 장애수용에 유익한 프로그램들 중에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 는 동료상담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
하는 방안이 요구됨.
- 미취업 여성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차별경험 실태를 조사하여 개인별 차 별의 정도에 따른 맞춤형 장애수용
관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여성 장애인들의 취업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임.
---------------------------------------------------------------------------------------------------------------------------------------------------------------------------------------------------------------------------------------------------------------
1)본 자료는 김자영(2019). “여성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여성연구, 102(3), 37-59. 의 내용을 요약한 것임.
첨부파일
-
이슈브리프 1호_김자영 전임연구원.pdf (64.3K)
67회 다운로드 | DATE : 2020-10-05 15:14:37
- 이전글[이슈Breif 1호]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서비스와 재입원율 관계에 대한 연구 리뷰 20.10.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