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창의의결실

[논문] 발달장애인 공공후견과정의 쟁점과 딜레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미옥, 김새봄 외, 2019)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779회 작성일 20-07-03 14:26

본문

김미옥, 김새봄, & 유하얀. (2019). 발달장애인 공공후견과정의 쟁점과 딜레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정책46(2), 175-201. 


사회복지정책

2019, vol.46, no.2, pp. 175-201 (27 pages)

DOI : 10.15855/swp.2019.46.2.175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링크: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77150

초록: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 공공후견인의 의사결정지원 경험을 탐색하고 관련 쟁점과 딜레마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후견업무 주관기관으로부터 추천받은 공공후견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고, 관련 쟁점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후견활동의 질이 담보되는지와 관련하여, 특히 후견활동의 제한된 만남, 후견업무의 다양성에 따른 적절한 대응의 어려움이 제기되었다. 둘째, 후견활동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보장만이 최선인지에 대한 쟁점이 제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제한적인 상황 이해, 이해당사자의 의견충돌과 관계갈등, 모호한 의사결정기준으로 자기결정권 보장과 최선의 이익간의 충돌 등이 논의되었다. 셋째, 후견활동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그 범위가 지나치게 넓거나 좁은 것으로 규정되는 쟁점이 제기되었다. 이는 표준화가 어려운 후견활동으로 인하여 그 경계 짓기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때론 재산관리로만 제한되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후견인은 신체적, 정서적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공후견과정에서 발달장애인의 의사결정능력 향상 기회가 있는지에 대한 쟁점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장애관련기관의 연계와 협력의 제한성이 제기되면서 실효성 있는 후견감독체계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 공공후견과정의 쟁점과 딜레마를 규명하고, 공공후견제도가 발달장애인에 대한 의사결정지원과 권리옹호적 제도로서 기여하도록 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upported decision-making of adult guardians when providing “public services of adult guardianship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xamine related issues.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public guardians who were recommended by the guardian organization and discussed related issues. First, regarding the quality of public guardianship services, the guardians identified limited guardianship time and guardianship tasks requiring expertise as concerns. Second, the issue of whether it is best to guarante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uardianship activities was raised. Discussion on this included: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due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conflict between stakeholders, and conflicts regarding self-determination; and meeting best interests based on ambiguous decision-making standards. Third, the boundary of the guardianship activities is unclear, raising issues that defined its scope as too wide or narrow.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boundaries for guardian activities due to guardian tasks being difficult to standardize, which sometimes leads to problems in which guardian activities are limited only to property management. In this process, the guardians experienced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Fourth, issues were raised about whether there wer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decision-making abi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Public Guardianship System. Finally, the issue of linkage between disability-related organizations and limitations of cooperation were raised, and the need for an effective guardianship supervision system was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proposals to stabilize the Public Guardianship System as a supported decision-making and rights advocacy syste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